이식형태 | 이식분류 | 이식건수 | |
---|---|---|---|
자가·가족제대혈 | 조혈모세포 |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| 자가 2 cases, 가족 1 case |
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| 가족 1 case | ||
성숙 B-세포백혈병, 버킷형 | 자가 1 case | ||
임상연구 | 뇌성마비 | 자가 17 cases, 가족 5 cases | |
발달장애 | 자가 24 cases, 가족 9 cases | ||
자폐증 | 자가 2 cases | ||
사립체근병 | 가족 1 case | ||
기증제대혈 | 조혈모세포 | 백혈병 군 | 144 cases |
재생불량성 빈혈 | 11 cases | ||
골수이형성 증후군 | 10 cases | ||
外 난치성 질환 | 20 cases | ||
임상연구 | 뇌성마비 | 560 cases | |
발달장애 | 35 cases | ||
자폐증 | 2 cases | ||
소아마비 | 2 cases | ||
신경계 질환(뇌졸중, 뇌경색, 뇌출혈, 뇌손상 등) | 174 cases | ||
外 난치성 질환 | 106 cases |
본인 및 가족의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조혈모세포 이식(제대혈이식)에 활용될 수 있음.(단, 의료진 소견에 따라 난치성 질환 시 본인 또는 가족 간 이식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)
난치성질환에 대한 최근의 다양한 임상시험에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, 향후 난치성질환의 세포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 있음
생명나눔의 의미로 기증된 제대혈은 난치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표준치료법으로 공인된 조혈모세포이식(제대혈이식)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활용됨.
조혈모세포이식에 활용되지 못하는 제대혈은 연구용으로 보관관리하면서 난치성질환 연구에 활용됨.
해외의료기관